본문 바로가기

맞춤법

✅ "들르다 vs 들리다" 완전 정리

1. 들르다

👉 어떤 곳에 잠깐 머무르거나 지나가는 길에 잠시 거쳐 가다라는 뜻.

  - '잠시 들렀다 간다'의 뉘앙스.

  - 일상에서 누군가 집, 가게, 사무실 등에 짧게 방문할 때 쓰임.

 

📌 활용 예시

  - 퇴근길에 서점에 들르다.

  - 여행 중에 맛집에 잠깐 들렀다 왔다.

  - 친구 집에 잠시 들를게.

 

👉 문법적으로 불규칙 활용 주의!

  - '르 불규칙 동사'라서 활용 시 들러, 들르니, 들릅니다처럼 바뀜.

 

2. 들리다

👉 기본적으로 '듣다'의 피동형으로, 소리가 귀에 들어오는 것을 의미.

  - 소리가 들려오는 상태를 말할 때 사용.

  - 이외에도 '보이다', '알려지다'의 뜻으로도 확장

📌 활용 예시

  - 멀리서 음악 소리가 들린다.

  - 무슨 말인지 잘 안 들려.

  - 그 소문이 온 동네에 들렸다.

  - 집이 멀리서도 눈에 들린다 (=보인다).

 

3. 둘의 차이 핵심

  들르다: '장소'에 잠깐 방문하다.

  - 들리다: '소리'가 귀에 들어오거나, '보이다/알려지다'.

 

✔️예문 비교

  - 어제 회사 근처 카페에 잠깐 들렀다. (장소 방문)

  - 카페에서 노래가 크게 들렸다. (소리)

 

4. 헷갈리는 이유

둘 다 발음이 비슷해서 구어체에서는 혼동이 많음.

  - ❌ 잘못된 예: "집에 들릴게."

  - ⭕️ 올바른 표현: "집에 들를게."

'들리다'는 '소리, 보임, 알려짐'의 의미이므로 장소 방문에는 절대 쓰지 않음!

 

5. 외우는 꿀팁

  - 🚶 "르" ➔ 장소에 들르다 (잠깐 방문)

  - 👂 "리"  귀에 들리다 (소리가 들림)

👉  장소 = 들르다 / 소리 = 들리다

 

✅ 최종 정리

  - 들르다 = 장소에 잠깐 들다, 방문하다.

  - 들리다 = 소리/모습/소문이 전해지다.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