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맞춤법

📌 되 vs 돼, 왜 헷갈릴까?

한국어 맞춤법 중 건색량이 가장 많은 주제가 바로 되 vs 돼 입니다.

"안되요?" 와 "안 돼요?" 중 뭐가 맞는지 헷갈리는 분들이 정말 많죠.

오늘은 이 둘의 차이를 완벽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.

 

✅ 1. 되 (어간 + 어미)

'되'는 '하다'의 피동형·사동형인 '되다'의 일부로 쓰입니다.

즉, 어간 '되-' + 어미로 나뉘어 쓰이는 경우입니다.

  - 예문

     - "말이 되다."

     - "그 일은 그렇게 하면 안 되다."

     - "이 정도면 충분히 가능이 되지."

👉 '되'는 원래 동사 '되다'의 활용형이라는 점 기억!

 

 2. 돼 (되어의 줄임말)

'돼'는 '되어'의 준말입니다.

따라서 '돼'를 풀면 항상 '되어'로 바꿔쓸 수 있어야 합니다.

  - 예문

     - "잘 돼 가고 있다." (= 잘 되어 가고 있다)

     - "걱정하지 마, 다 잘 될 거야." (=다 잘 되어 갈 거야)

     - "안 돼요!" (=안 되어요)

👉 '돼'는 무조건 '되어'로 치환 가능해야 맞는 표현입니다.

 

  3. ❌ 자주 하는 실수

  - "안되요." → ❌

  - " 안 돼요." →  ✅ (안 되어요)

  - " 그게 말이 돼?" →  ✅ (그게 말이 되어?)

  - " 그게 말이 되?" → 

👉 간단히 말해, '되'인지 '돼'인지 헷갈리면 '되어'로 바꿔보세요.

자연스럽게 읽히면 '돼', 그렇지 않으면 '되' 가 맞습니다.

 

💡 쉽게 외우는 TIP

    1. '되' = '되어' (항상 치환 가능)

         - 예 : 안 돼(안 되어), 잘 돼(잘 되어)

    2. '되' = '되다' 활용형

         - 예 : 말이 되다, 그렇게 하면 안 되다

    3. "안되요"는 절대 ❌, 항상 "안 돼요" 가 정답!

 

✅ 체크리스트 요약

    ✔️ 되 = '되다'의 활용형

    ✔️ 돼 = '되어'의 줄임말

    ✔️ 헷갈리면 '되어'로 바꿔보기

    ✔️ "안되요" ❌ → "안 돼요"✅

 

📖 다음 글 예고

다음 편에서는 혼동하기 쉬운 "맞추다 vs 맞히다"를 다룰 예정입니다.

특히 "정답을 맞추다 / 주사를 맞히다" 같은 상황에서 자주 틀리죠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