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맞춤법

📌 낫다 vs 낳다 vs 나았다, 완벽 정리!

글을 쓰다 보면 "낫다", "낳다", "나았다"를 자주 혼동합니다.

특히 "아픈 게 낳았다"처럼 잘못 쓰는 경우가 많은데, 이는 틀린 표현입니다.

오늘은 이 세 가지 단어를 정확하게 구분해 보겠습니다.

 

✅ 1. 낫다 (더 좋다 / 병이 회복되다)

'낫다'는 크게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.

1. 비교해서 더 좋다

  - 예문

      - "이게 저것보다 낫다."

      - "전보다 성적이 훨씬 낫네."

 

2. 병이나 상처가 회복되다

  - 예문

      - "감기가 다 낫다."

      - "상처가 말끔히 낫네."

 

👉 '낫다'는 좋다 / 회복하다의 의미입니다.

 

✅ 2. 낳다 (출산하다 / 결과를 내다)

'낳다'는 아이를 출산하다라는 뜻이 가장 대표적입니다.

  - 예문

      - "어머니가 아기를 낳으셨다."

      - "닭이 알을 낳았다."

또한 어떤 결과나 산물을 만들어 내다라는의미도 있습니다

 

  - 예문

      - "노력은 성공을 낳는다."

      - "많은 발명품이 편리함을 낳았다."

 

👉 '낳다'는 출산하다, 만들어 내다의 의미입니다.

 

3. 나았다 (낫다의 과거형)

'나았다'는 '낫다'의 과거형입니다.

  - 예문

      - "어제는 열이 심했는데 오늘은 많이 나았다."

      - "그때보다 지금이 훨씬 나았다."

 

👉 "병이 나았다 / 상태가 나았다"처럼 회복이나 비교 의미일 때 쓰입니다.

 

❌ 자주 하는 실수

  - "감기가 다 낳았다."  ➔ ❌ (출산하다?)

  - "감기가 다 나았다."  ➔ ✅ (병이 회복하다)

  - "이게 저것보다 낳다." ➔  

  - "이게 저것보다 낫다." ➔ ✅

 

👉 헷갈리면 출산은 낳다, 회복/비교는 낫다(과거형 : 나았다)로 기억하세요!

 

💡쉽게 외우는 TIP

1. 출산 ➔ 낳다 (산모가 아기를 낳는다)

2. 비교/회복  낫다 (과거형 나았다)

3. "아픈 게 낳았다"는 절대 ❌  "아픈 게 나았다"가 정답

 

✅ 체크리스트 요약

  - 낫다 = 더 좋다 / 병이 회복되다

  - 낳다 = 출산하다 / 결과를 내다

  - 나았다 = '낫다'의 과거형 (회복/비교)

  - "감기가 낳았다"는 틀린 말! 반드시 "감기가 나았다"

 

📖 다음 글 예고

다음 편에서는 "~ㄹ는지 vs ~ㄹ런지"를 다룰 예정입니다.

특히 "올런지, 갈런지" 같은 표현이 맞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죠!

반응형